티스토리 뷰
오프라인 가상화폐 개인전자지갑 만들기 암호화폐 핫월렛 콜드월렛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대시 네오 퀀텀 하드웨어지갑 USB 프랑스 레저 나노S 구매가격 사전예약 킵키 트레조
매직a 2018. 2. 8. 13:17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가상화폐 거래소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일반 암호화폐 사용자들이 보유한 가상화폐를 해킹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최우선 방법은 안전한 '개인키' 관리다.
가상화폐는 기본적으로 '지갑'을 제공하며, 지갑을 사용할때 주의해야 할 점은 '공개키(지갑 주소)'와 '개인키(암호)' 관리다. 가상화폐 전용 하드웨어지갑으로 '나노 S(Nano S)', '킵키(KeepKey)', '트레조(TREZOR)' 등을 추천한다.
# 일본 코인체크 해킹 사고 후 가상화폐 하드웨어 지갑 품절 사태
가상화폐(암호화폐) 지갑은 '소프트웨어 지갑'과 '하드웨어 지갑'으로 구분한다. 소프트웨어지갑은 가상화폐 거래소와 가상화폐 지갑 전문 사이트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지갑으로 투자자가 사용하는 기기 환경에 따라서 웹지갑, PC지갑, 모바일지갑으로 사용한다.
하드웨어지갑은 USB처럼 실물 장치 형태로 가상화폐 이체 등 꼭 필요할 때만 PC에 연결해 사용하기 때문에 평소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해킹 위험에서 안전하다. 가상화폐 거래소 지갑에서 하드웨어 지갑으로 수시로 옮겨 안전하게 보유하는 것이 좋으며, 사용자는 하드웨어지갑 분실·도난에 주의해야 한다.
# 인터넷 연결 여부로 구분하는 핫월렛과 콜드월렛
가상화폐 지갑 종류는 '인터넷 연결 여부'에 따라서 구분한다. 인터넷에 연결된 '핫월렛(Hot Wallet)'은 가상화폐 거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인터넷과 피싱사기 등 해킹에 취약하다.
오프라인만 사용할 수 있는 '콜드월렛(Cold Wallet)'은 거래는 불편하지만 해킹에서 자유롭다. 핫월렛은 자유롭게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예금 계좌', 콜드월렛은 입금은 되지만 출금이 자유롭지 않은 '적금 계좌'로 비교할 수 있다.
# 프랑스 레저 나노 S
- 한국어 지원: https://www.ledgerwallet.com/products/ledger-nano-s
레저는 홈페이지에서 한국어를 지원하며 사전 예약(3월 27일 이후 배송 예정)을 받고 있다. 나노 S 가격은 무료배송을 포함해 79유로(한화 104,000원)으로 구매대행 사이트를 이용하면 가격은 20만원대이다.
암호화폐 하드웨어지갑으로 유명한 레저(Ledger)사의 '나노 S(Nano S)'는 USB 메모리 형식의 디자인으로 소형 OLED디스플레이어와 PIN코드를 입력하는 버튼이 탑재되어 사용할 수 있다.
개인키를 안전하게 저장 후 가상화폐를 입출금할 때에는 개인키 자체가 아니라 전자서명이 된 값만 밖으로 전송하는 보안토큰 역할을 한다.
저장할 수 있는 가상화폐는 비트코인(기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비트코인캐시(BCH), 라이트코인(LTC), 대시(DASH), 네오(NEO), 이더리움 클래식(ETC), 퀀텀(QTUM), 비트코인골드(BTG), 제트캐시(ZEC), 도지코인(DOGE), 스트라티스(STRAT), 코모도(KMD), 포스우(POSW), 아크(ARK), 익스펜스(EXP), 유빅(UBQ), 피벡스(PIVX), 버트코인(VTC), 비아코인(VIA), 스텔라루멘(XLM), Hcash(HSR), 디지바이트(DGB) 등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