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공기청정기는 필터를 이용해서 공기중의 먼지·불순물을 걸러서 정화하는 기계식이 가장 보편적인 형태로 필터는 초미세먼지 제거가 가능한 '헤파((HEPA)) 필터'와 유해가스 제거용 '탈취 필터' 등이 있다. 미세먼지때문에 공기청정기를 구입한다면 고성능 헤파필터를 탑재한 가정용 공기청정기를 구입해야 한다.





필수 가전으로 급부상한 공기청정기는 집과 사무실에서 없어선 안 되는 가전제품으로 '무필터 공기청정기'는 필터 교환이 필요 없다는 점이 특징으로 '헤파 필터'를 사용하는 일반 공기청정기와 다르게 촉매 방식으로 공기를 정화한다.





# EMW 클라로

백금 촉매 기술을 이용해서 공기 중 유해물질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EMW 클라로는 초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먼지 센서로 이용한 공기청정기이며, 필터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 EMW 클라로 CK-S20W 가격: 423,060원



<무필터 공기청정기 비교>



# 알파인 프레시에어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한 광촉매 방식을 이용한 알파인 프레시에어는 오존발생없는 공기청정기로 각종 정화 이온을 대량으로 생성시켜 실내의 공기질을 개선한다. 알파인 프레시에어는 필터를 사용하지 않아서 필터 교체가 필요없고, 1~2년에 한번 핵심 부품 RCI셀을 한번만 교체하면 된다. 


- 알파인 프레시에어 AP3000 가격: 1,280,000원





공기청정기는 정화 가능한 권장 사용면적에 맞는 용량이 중요하고, 집안 면적 또는 그 이상의 제품을 선택한다. 공기청정기 사용면적을 결정짓는 성능 수치는 'CADR(청정화능력 공인지표·Clear Air Delivery Rate)로 CADR 수치가 높을수록 사용면적이 넓다.


한국공기청정협회는 단체표준규격에 따른 엄격한 공기청정 시험검사를 통과한 제품에 CA(Clean Air) 마크를 부여하고, 집진효율과 탈취효율, 소음, 적용면적, 오존발생농도 등 평가 기준한다.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선택할 때는 헤파필터, CA마크, CADR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