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소프트포크(Soft fork) 뜻

기존 블록체인으로도 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 변화를 말한다. 1MB 블록을 처리하는 블록체인이 업그레이드없이 0.5MB 블록을 처리하는 경우다. 





* 하드포크(Hard fork) 뜻

기존 블록체인과 불일치하는 시스템 업그레이드때문에 블록체인이 2개로 분할되는 것을 말한다. 1MB 블록을 처리하는 블록체인에 2MB 블록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규칙을 도입하면, 기존 1MB용 블록체인은 새로운 가상화폐를 소화할 수 없는 식이다.





모든 관계자가 새로운 규칙에 찬성하면 분할을 피할 수 있지만, 기존 블록체인을 선호하는 개발자와 채굴자들이 새로운 규칙에 따르지 않으면 하드포크 수순을 밟게 된다.


대표적인 하드포크 사례는 지난 8월 '비트코인(BTC)'과 '비트코인캐시(BCH)'의 분할이다. 비트코인보다 거래 속도가 빠른 비트코인캐시는 거래 용량에 만족하지 못한 일부 비트코인 관계자들이 이를 확대하는 규칙을 도입하면서 탄생했다.





11월 12일 비트코인캐시 시세 가격은 최고가 2,489달러(한화 2,787,000원)을 경신했고, 이후 1,600,000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비트코인캐시 급등한 이유는 세그윈2X 하드포크가 취소되었기 때문이고, 단기차익을 노린 투자 세력이 비트코인에서 비트코인캐시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비트코인캐시 가격은 거래 첫날 8월 1일 291달러(한화 32만5,803.60원)로 거래를 시작했다. 오늘 기록한 최고가는 첫 거래일과 비교하면 세달만에 850% 넘게 급등한 것이다.





[국내 비트코인 거래소 순위]

한국 가상화폐 거래 규모는 중국, 일본과 함께 전 세계 5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국내 대표적인 가상화폐 거래소는 빗썸(1위), 코인원(2위), 코빗(3위) 순이다.


비트코인 거래량 글로벌 1위는 '비트맥스(BitMEX)'로 전 세계 비트코인 하루 거래량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빗썸은 전세계 비트코인 기준 상위 5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2017년 가상화폐 가격순위와 시가총액]

2017년 11월 12일 가상화폐 거래 가격순위는 비트코인(1위), 비트코인캐시(2위), 이더리움(3위), 라이트코인, 이더리움클래식, 퀸텀, 리플 순이다.


전 세계에 존재하는 가상화폐는 총 1130종으로 시가총액은 1466억달러(한화 약 164조원)이다. 비트코인이 703억달러(한화 78조)로 48%를 차지한다.



<가상화폐 비트코인 소개·채굴방법·거래방법·투자전망 동영상>



댓글